이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동북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소흥안령산맥이 시를 관통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다. 702개의 강이 있으며, 탕왕허강이 주요 강이다. 몬순의 영향을 받는 반북방 기후로, 길고 추운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이 나타난다. 이춘시는 '홍송의 고향'으로 불리며, 목재 가공 및 야금이 주요 산업이다. 이춘 린두 공항, 철도, 고속도로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무단장시 무단장시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발해 유적과 청나라 시대 거점, 만주국 시대 일본 군사 및 산업 중심지로서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는 국경 무역과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치치하얼시 치치하얼시는 헤이룽장성 서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우르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군사적 요충지이자 중공업 도시로서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춘시는 헤이룽장성 동북부에 위치하며, 국경선 길이는 2495km이다. 이 중 일부는 아무르강(헤이룽강)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와 마주하고 있다. 동쪽은 뤄베이현, 허강시, 탕위안현과, 남쪽은 이란현, 퉁허현과, 서쪽은 칭안현, 쑤이링현과, 북쪽은 쑨우현, 자인현 및 헤이룽강을 경계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다.[1] 소흥안령산맥이 시를 관통한다. 총 행정 면적은 33000km2이다. 하천과 계곡은 나무와 초원으로 빽빽하게 덮여 있다. 702개의 강이 있으며, 모두 아무르강과 쑹화강유역에 속한다. 총 저수량은 102억m3이다. 탕왕허강이 주요 강이다.[2]
2. 2. 기후
이춘시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반북방 기후(쾨펜 Dwb)로, 길고 혹독하게 추우면서도 매우 건조한 겨울과 매우 덥고 습한 여름이 나타난다. 연평균 기온은 1.6°C로 중국에서 가장 추운 도시 중 하나이며, 일교차가 특히 겨울과 봄에 큰 경향이 있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에서 7월 20.9°C까지 다양하다. 따뜻한 달에는 산악 지형으로 인해 강수량이 다소 증가하여 연간 강수량이 627mm에 달한다. 그러나 몬순의 영향으로 연간 강수량의 60% 이상이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된다.[13][14]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
-13.3°C
-7°C
1.3°C
11.7°C
19.8°C
24.5°C
27.1°C
25.2°C
19.7°C
10.5°C
-2.5°C
-12.7°C
평균 기온 (℃)
-20.9°C
-15.5°C
-5.7°C
5°C
12.5°C
17.8°C
21.1°C
19.1°C
12.4°C
3.8°C
-8.6°C
-19°C
평균 최저 기온 (℃)
-27.5°C
-23.4°C
-13°C
-1.7°C
5.1°C
11.6°C
15.9°C
14.2°C
6.5°C
-2°C
-14.2°C
-24.7°C
강수량 (mm)
6.1mm
6.5mm
14.4mm
26.8mm
56.5mm
125.7mm
161.8mm
137mm
72.1mm
32.4mm
14.5mm
10.7mm
샹수이 계곡, 우잉 국가삼림공원, 헤이룽장성, 중국 (2016년 9월 6일)
2. 3. 수계
이춘시에는 총 702개의 강이 있으며, 모두 아무르강(헤이룽강)과 쑹화강유역에 속한다. 총 저수량은 102억m3이다. 탕왕허강이 주요 강이다.
3. 역사
이춘시의 이름은 탕왕허의 지류인 이춘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춘'은 몽골어로 '아홉'을 의미한다.[2]
청나라 시대에는 치치하얼(제제하얼) 부도통 및 후란(후란) 부도통의 관할이었다. 청나라 말기 민국 초에는 탕위안 현의 관할이었으나, 원시림이 널리 분포된 지역으로 본격적인 개발은 만주국 성립 이후에 이루어졌다. 1941년 11월, 수이자선이 건설되었고, 1942년 7월에는 탕린선의 난차-이춘 구간이 건설되었다.[2]
만주국 붕괴 후 1946년 탕위안 현 난차구의 관할이었지만, 1949년 10월 이춘진이 설치되었고, 이듬해에는 이춘 삼림 광업 관리국이 설치되어 중국 내의 임업 수요에 대응하는 행정 조직이 구성되었다.[2]1952년 9월 29일, 인구 7.5만 명의 이춘현이 설치되어 쑹장성(1954년 이후는 헤이룽장성)의 관할이 되었다.[2] 임업과 공업을 중심으로 한 도시 건설의 결과 인구가 증가하여, 1957년 7월 26일에는 이춘시로 승격되었으며,[2]1958년에 지급시로 승격되었다.[2]
3. 1. 고대
이춘시의 이름은 탕왕허의 작은 지류인 이춘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춘'은 몽골어로 '아홉'을 의미한다.[2]
상나라 시대에는 숙신족이 이춘 지역에 거주했다. 당나라 이전에는 숙신과 동호를 포함한 여러 유목 부족들이 중국 북동부 국경 지역에 거주했다.[2]
3. 2. 청나라 시대
이춘시의 지명은 탕왕허의 지류인 이춘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춘'은 몽골어로 '아홉'을 의미한다.
청나라 시대에는 치치하얼(제제하얼) 부도통 및 후란(후란) 부도통의 관할이었다. 청나라 말기 민국 초에는 탕위안 현의 관할이었으나, 원시림이 널리 분포된 지역으로 본격적인 개발은 만주국 성립 이후에 이루어졌다.[2] 1941년 11월 수이자선이 건설되었고, 1942년 7월에는 탕린선의 난차-이춘 구간이 건설되었다.[2] 1945년, 이춘은 탕위안 현의 통제하에 이춘가(이춘 거리)로 설립되었다.[2]
3. 3. 만주국 시대
청나라 시대 이춘은 치치하얼(제제하얼) 부도통 및 후란(후란) 부도통의 관할이었다. 청나라 말기 민국 초에는 탕위안 현의 관할이었으나, 원시림이 널리 분포된 지역으로 본격적인 개발은 만주국 성립 이후에 이루어졌다. 1941년 11월, 수이자선이 건설되었고, 1942년 7월에는 탕린선의 난차-이춘 구간이 건설되었다.[2]
3. 4.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6년 탕위안 현 난차구의 관할이었지만, 1949년 10월 이춘진이 설치되었고, 이듬해에는 이춘 삼림 광업 관리국이 설치되어 중국 내의 임업 수요에 대응하는 행정 조직이 구성되었다.[2]1952년 9월 29일, 인구 7.5만 명의 이춘현이 설치되어 쑹장성(1954년 이후는 헤이룽장성)의 관할이 되었다.[2] 임업과 공업을 중심으로 한 도시 건설의 결과 인구가 증가하여, 1957년 7월 26일에는 이춘시로 승격되었으며,[2]1958년에 지급시로 승격되었다.[2]
이춘( I-CH'UN)이 포함된 지도(육군 지도국, 1955)
1964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기업 경영과 정부의 결합에 대한 시범을 보이기 위해 이춘시 대신 이춘 특별구(伊春特区중국어)를 설립하는 것을 승인했다.[2] 1979년 이춘시가 재설립되었다.[2] 자이인과 톄리가 이춘의 관할 구역으로 편입되었다.[2]
2010년 이춘시의 GDP는 202.4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15.7% 성장했고, 같은 해 지정 규모 이상 기업의 부가가치 산업 생산량은 29.3% 증가한 71.2억위안, 대외 무역액은 36.3% 증가한 3.2230000000000003억달러를 기록했다.[7][8]
이춘시는 목재 가공 및 야금 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홍송(잣나무)의 고향'으로 불릴 만큼 임업이 중요하다. 산림 자원과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한방 약재와 야생 동물도 다양하게 생산된다.
6. 1. 주요 산업
2010년 이춘시의 GDP는 202.4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15.7% 성장했다.[7] 같은 해, 지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서 생산된 부가가치 산업 생산량은 29.3% 증가한 71.2억위안을 기록했다.[8] 2010년 이춘시의 대외 무역액은 3.2230000000000003억달러로 전년 대비 36.3% 증가했다.[8]
목재 가공 및 야금은 이춘시의 주요 산업이다. 2010년 목재 가공 부문의 부가가치 산업 생산량은 34% 증가한 20.1억위안을 기록했고, 야금 부문의 부가가치 산업 생산량은 39.2% 증가한 22억위안을 기록하여 산업 부문 전체의 33.6%를 차지했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이 두 산업은 이춘시 전체 부가가치 산업 생산량의 91%를 차지했다.[7]
이춘시는 중국 중점 임구 중 하나로, '홍송(잣나무)의 고향'으로 불렸다. 산림 총 축적량은 2.45억m2이다. 주요 수종은 잣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은사시나무, 자작나무, 가래나무, 물푸레나무이다. 목재 연간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1/10을 차지한다.
또한, 금, 은, 구리, 철, 주석, 납, 석탄 등의 광산 자원이 있다. 한방 약재와 야생 동물이 풍부하며, 인삼, 가시오가피, 잣, 목이버섯, 버섯, 노루궁뎅이버섯, 흰꼬리매, 검은담비를 생산한다.
7. 교통
이춘 린두 공항은 이춘 시내에서 약 9km 떨어진 숲 속에 있으며, 2009년 8월부터 운영을 시작하여 연간 14만 2천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9][10] 이춘 기차역에서는 하얼빈행 기차가 매일 운행된다.[8] 수이자 선과 南乌铁路|난우 철로중국어가 이춘 시를 지난다.[8] 이춘-허강 고속도로와 이춘-하얼빈 고속도로(허강-하얼빈 고속도로의 일부)는 이춘 시를 헤이룽장 성의 다른 도시들과 연결한다.[8]
7. 1. 항공
이춘 린두 공항은 이춘 시내에서 약 9km 떨어진 숲 속에 있는 공항이다.[9] 2009년 8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연간 14만 20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10]
7. 2. 철도
중국철로 하얼빈국 집단공사가 관리하는 수이자 선과 南乌铁路|난우 철로중국어가 이춘시를 지난다.[8] 이춘역에서는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가 매일 운행된다.[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